카테고리 없음

개초보에게 연금저축 이해시키기

lunatiq 2024. 7. 12. 19:35

평소 친하게 지내는 회사 동생이 돈을 어떻게 굴려야 할지 고민하면서 내가 하고 있는 연금저축에 대해서 궁금해하길래, 오늘 하루 날을 잡고 회의실에서 함께 이야기했던 내용이다. 근무태만ㅋㅋ

 

# 갑자기 연금저축이 왜 궁금해?

가끔 연금저축 추천할 때마다 돈이 묶여서 꺼려진다고 했던 친구인데, 취직한 지 5년이 돼도 불어나지 않는 자금에 대해 이제야 걱정이 되는 눈치.

앞으로 몇 년 안에 결혼 생각도 있어서 돈이 아예 묶이는 건 싫고, 그렇다고 주식을 하자니 모르겠고, 그동안 예적금만 성실하게(?) 해온 케이스. ETF가 뭔지도 모르고 IRP, 연금저축, ISA에 대해서는 아예 무지.. 어디서부터 설명을 해야 할까.

 

# IRP, 연금저축, ISA 먹는 건가요?

일단 3가지 계좌에 대해 구분이 필요하다. IRP, 연금저축, ISA 다양한 세제혜택이 있는 계좌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한민국 정부가, "사실 앞으로 너희 국민들을 위해 내어 줄 연금이 없어. 이 세 가지 세제 혜택이 있는 계좌들을 줄 테니, 개개인이 열심히 모아서 노후는 각자도생 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ㅋㅋ감사히 잘 쓰겠습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비슷한데 큰 차이가 있다.
IRP와 연금저축 계좌 합산해서 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1,800만 원까지만 납입이 가능하다. (예. IRP에 1,000만 원, 연금저축에 800만 원)

5년 이상 유지해야 하고, 55세 이후 적은 세금만 납부하고 노후 자금을 찾아서 쓸 수 있다.

연말정산 시 통합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IRP는 900만 원까지 / 연금저축은 600만 원까지) 

연금저축만 활용할 경우 600만 원까지 밖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다.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IRP에 최소 900만 원 이상을 입금하거나, IRP에 300만 원, 연금저축에 600만 원을 입금해야 한다.

 

IRP계좌와 연금저축 계좌 안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을 거래할 수 있고, 이자소득 15.4%, 배당소득 16.5%, 해외 ETF 매매차익 16.5%에 대한 세금은 없으며, (과세이연) 연금 수령 시 저율 과세한다. 

이 정도가 공통적인 장점이다.

 

# 세액공제 포기하면서까지 연금저축에만 1년 1,800만 원 몰빵 하는 이유?

IRP는 현금 또는 채권이 40% 이상 포함된 "안전자산"을 30% 이상 갖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여기 맹점이 있다.

 

올해 IRP에 1,000만 원을 입금해서 위험자산인 주식형 ETF에 700만 원, 나머지 300만 원은 현금을 보유했다고 가정하자. 1년이 지나 주식형 ETF가 30% 성장해서 910만 원이 됐고, 현금은 3% 이자 붙어서 309만 원이 됐다.

 

이 경우 위험자산 비중이 75%, 안전자산 비중이 25%로 변동 됐기 때문에, 추가로 1,000만 원을 입금해서 700만 원을 주식형 ETF에 넣을 수 없다. 위험자산 수익만큼, 추후에 납입하는 금액은 안전자산에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나는 내 모든 투자금을 위험자산으로 몰빵하고 싶다. 그래서 연금저축에 몰빵 한다.

 

# 중도 출금하면 세금 나온다면서요..

연금저축을 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세제혜택을 받지 않은 금액은 세금부과 없이 출금이 가능하다"라는 점 때문이다. 살다 보면 여러 가지 일이 생길 수 있고, 이 친구는 중간에 결혼을 염두에 두고 있다.

연금저축계좌에 연간 입금하는 금액 중, 첫 600만 원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때문에, 이 금액을 55세 이전에 출금하게 되면 16.5%의 세금을 제 하고 수령하게 된다. 세제혜택은 13.5%이니, 3% 손해

 

하지면 연간 입금액 중 6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이 페널티 없이 출금이 가능하고, 또 그 돈을 굴리는 동안 수익을 낼 수 있다.

연간 1,800만 원을 연금저축계좌에 입금했다면, 1,200만 원은 언제라도 페널티 없이 출금이 가능하다는 것. 단, 계좌에서 발생한 수익 또한 세제혜택을 받은 것이므로 중도 출금 시 세금을 떼어간다.

 

1,8000만 원씩 5년을 성실하게 모았다면, 6,000만 원의 목돈은 페널티 없이 인출이 가능하다. 목돈을 모을 동안 수익도 짭짤하게 났을 거다. 연금저축에 1,800만 원 입금할 여력이 되는데도 연간 600만 원만 입금하겠다면, 나머지 1,200만 원은 더 수익률이 좋은 곳에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된다!

 

반면 IRP의 경우, 페널티 없이 출금할 수 있는 조건이 있긴 한데 까다롭고, 특히 "결혼"은 그 조건사항에 포함되지 않아서 중도출금의 경우 16.5%가 원천징수 되게 된다.

 

이 것이 연금저축 1,800 몰빵의 또 한 가지 이유

 

# 그럼 ISA는 뭐예요?

ISA는 연간 2,000만 원, 계좌에 총 1억 원을 입금할 수 있는 계좌로, 연금이 아닌 목돈을 모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계좌다. (연간한도, 입금한도 및 세제혜택이 확대된다고는 하는데 아직 정확한 시점이 발표가 안되고 있다. 계획 발표한 지가 언젠데.. 빨리 좀)

 

ISA에서는 일반 주식과 ETF, 레버리지, 인버스 등 해외직접투자를 제외하고 모든 주식 및 ETF 거래가 가능하고, 3년 이상 보유 하고 해지했을 때, 9.9%의 낮은 세금이 부과되는 목돈 만들기용 계좌이다.

추가로, ISA 계좌 해지 시점에서(최소 보유기간 충족 시) 연금저축 또는 IRP 계좌로 넘기는 금액만큼 세제혜택이 더 있다!

 

연금저축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1년 1,800만 원 가지고는 빵빵한 노후를 만들기엔 사실 부족한감이 있다. 그래서 매년 연금저축/IRP에 1,800을 꽉꽉 채우고, ISA계좌에는 여력이 되는 만큼 추가로 저축을 해서 3년에 한 번 연금저축/IRP로 추가 금액을 넘기는 작업(?)을 해줘야, 풍족하고 달달한 노후를 위한 자금을 모을 수 있다는 게 내 생각이다.

 

# 연금저축에 입금은 하겠는데, 투자는 어디에 해요?

국내 ETF, 인도, 일본 등 다양한 국가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있지만, 그냥 미국이 답이다. 크게 분류하자면 S&P, 나스닥, SCHD를 추종하는 국내 ETF들이 있는데, 성향에 따라 투자하면 된다. 성공여부는 한두 번 몰빵 쳐서 존버 굉장히 버티기 가 아니고,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매수할 수 있는지에 있다.

 

# 마이너스 난적 있어요?

당연히 있지. 작년에 미국장 비실비실 했을 때. 계좌는 계속 파란불이었고, 파란불이었었도 계속 샀다. (물론 최저점에는 못 삼 ㅜㅜ) 그런데 재미있는 게, 적립식으로 사다 보면, 주가가 올라가는 게 더 싫더라. 우상향인 것을 사실로 믿고 있으면서 하는 투자이기 때문에, 1원이라도 더 싼값에 사고 싶은 마음이 드는데, 그러다 보니 주가가 오르기보단 내렸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더 자주 들더라ㅋㅋ

 

# 이렇게 좋은데 왜 많이들 안 해요?

그러게 말이다. 꼴랑 연수익률 7%~10% 보다 수익 더 많이 낼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 수두룩하더라. 아니면 몰라서 못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고, 돈이 언제 필요할지 몰라서, 묶이는 게 싫어서 안 하는 사람도 있을 수도 있고...

어쨌든 이걸 하는 사람이 안 하는 사람보다 노후에 좀 더 편해지지 않겠어?

 

 

이제 겨우 30대 초반인 친구인데, 내가 저때부터 시작했었다면 지금쯤 월에 최소 30~40만 원 정도는 배당을 받고 있지 않았을까... 그런 부러움이 갑자기 들더라.

 

이래도 안하면 뭐다?

 

 

연금저축 매년 1,800만 원씩 풀로 당겨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https://lunatiq.tistory.com/27

 

연금저축, 매년 최대 한도까지 꽉꽉 눌러 채워야 하는 이유

내 삶은 연금저축을 알기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알게 된 지 3년째라 22년생 아가다...어느새 "연금저축 신봉자"가 되어 대화중 연금저축 이야기가 나오면, 연금저축은 꼭 있어야 하고 최대한 많

lunatiq.tistory.com

 

 

연금저축에서 투자해볼만한 종목이 궁금하다면,

https://lunatiq.tistory.com/34

 

연금저축,ISA에서 모아갈 수 있는 S&P500

지난번 글 "개초보에게 연금저축 이해시키기"에 이어서. 연금저축 또는 ISA를 하겠다고 마음먹고 계좌를 만들었다면 투자는 어디에 해야 할까?일단 답은 국내상장 해외 ETF 중 미국 ETF. 왜?① 국

lunatiq.tistory.com